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1

소비 증가의 숨은 이유: 왜 월급이 인상되어도 생활이 나아지지 않을까? 많은 사람들이 월급이 오르면 생활이 나아질 것이라고 기대하지만, 실제로는 월급 인상에도 불구하고 생활이 크게 변화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이유는 단순히 돈을 많이 벌게 되면 그에 맞춰 소비가 늘어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경제학에서는 이를 '소득 상승에 따른 소비 증가'라고 설명합니다. 경제학자들은 소득 증가가 곧 생활 향상으로 이어지지 않는 여러 가지 이유를 제시했는데, 그중 대표적인 이론을 제시한 경제학자들이 바로 존 메이너드 케인스와 토르스텐 베블렌입니다. 케인스는 경제적 변화에 따라 사람들이 소비를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연구한 반면, 베블렌은 사람들이 자신을 다른 사람들과 비교하며 소비하는 경향을 설명했습니다. 이들 경제학자들의 연구를 바탕으로 월급이 오르더라도 생활 수준이 개선되지 않는 이유.. 2025. 3. 23.
브랜드 로고! 브랜드 자산! 얼마전 대한항공의 로고가 바뀌었죠? 다들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오늘은 로고에 대해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 각 회사의 로고는 시간이 지날수록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 변화는 단순히 미적인 이유만으로 일어나는 것이 아닙니다. 실제로 브랜드 로고는 소비자들의 인식과 감정에 큰 영향을 미치며, 그 변화가 기업의 성공과 직결되기도 합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대기업들의 로고도 과거와 현재를 비교하면 그 변화의 패턴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애플이나 스타벅스, 나이키 같은 브랜드는 그 로고의 변화를 통해 새로운 시장의 흐름을 반영하고, 소비자들의 신뢰를 이어가려 노력해왔습니다. 이러한 로고 변화의 배경에는 소비자들의 기대와 요구가 반영되어 있습니다. 경제학자 더글라스 휴버만(Doug.. 2025. 3. 21.
쿠폰을 활용하는 똑똑한 방법! 소비자 심리와 마케팅 전략 집에 쌓여있거나 어플에 쿠폰들이 많이 있지 않나요? 오늘 글에서는 쿠폰에 대해 써보려고 합니다. 쿠폰은 소비자에게 가격 할인을 제공하는 대표적인 마케팅 도구입니다. 그런데 같은 할인 혜택을 제공하더라도 어떤 소비자는 적극적으로 쿠폰을 활용하는 반면, 어떤 소비자는 이를 귀찮아하며 외면합니다. 이러한 차이를 설명하는 경제학적 개념 중 하나가 행동경제학입니다. 특히 리처드 탈러(Richard Thaler)와 대니얼 카너먼(Daniel Kahneman)의 전망 이론(Prospect Theory)은 소비자가 동일한 경제적 혜택을 다르게 인식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데 유용합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사람들은 이익보다는 손실을 더 크게 느끼며, 할인과 같은 경제적 혜택도 개인의 심리적 요인에 따라 다르게 평가됩니다... 2025. 3. 18.
심리적 가격 책정: 100원과 99원의 차이 마트에 가서 가격표를 볼 때 끝에 99원이면 뭔가 더 싸게 느껴져 구매욕구를 부를 때가 있지 않나요? 기업들이 제품 가격을 설정할 때, 단순히 숫자만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고 합니다. 실제로 소비자들의 구매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심리적 요소가 존재하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심리적 가격 책정(Psychological Pricing)'입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99원, 1,999원과 같은 가격 책정은 소비자에게 더 유리하게 느껴지고, 그로 인해 판매를 촉진시킬 수 있다고 합니다. 즉, 단 1원이지만, 소비자는 1,999원을 더 저렴하게 인식하게 됩니다. 이와 같은 현상은 경제학자들이 오랫동안 연구해 온 주제이며, 특히 심리학과 경제학의 경계에서 많은 논의가 이루어졌습니다. 그중에서도 심리적 가.. 2025. 3. 16.
지출 착각, 보상 소비: 할인 쿠폰이 많을수록 소비가 늘어난다! 쇼핑을 할 때, 할인 쿠폰을 받으면 기분이 좋을때가 있습니다. 그리고 이런 쿠폰을 사용해서 더 많은 물건을 사고 싶은 마음이 들곤 합니다. 할인 혜택을 받았다고 해서 더 많은 소비를 하게 되는 것은 단순한 우연이 아니라고 합니다. 이 현상에는 경제학적인 이유가 숨겨져 있습니다. "지출 착각(Spending Illusion)"과 "보상 소비(Reward-Based Spending)"라는 두 가지 이론이 이를 잘 설명해줍니다. 이 두 이론을 연구한 경제학자들은 사람들이 할인 혜택을 받았다고 생각할 때, 실제로는 더 많은 돈을 쓰게 되는 심리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리처드 세일러와 캐스 선스타인의 연구에 따르면, 사람들이 할인 혜택을 받으면, 본래 소비를 절제해야 할 때도 "이득을 보고 있다"는 느낌에 빠져 더.. 2025. 3. 13.
시간 지각, 소비 유도 전략: 백화점에 창문이 없는 이유! 백화점이나 쇼핑몰에 가면 시간이 정말 빠르게 흐르지 않나요? 저는 '잠깐 둘러봐야지' 했는데 어느새 몇 시간이 지나버린 경험이 종종 있어요. 근데 이는 단순한 기분 탓이 아니라고 합니다. 기업들이 소비자의 행동을 연구하고 의도적으로 설계한 환경 전략이 소비자들이 시간을 잊고 더 오래 머물게끔 한다고 합니다. 오늘은 이 전략에 관련해서 글을 써볼까 합니다. 우리는 일상에서 자연광과 시계를 통해 시간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인지합니다. 하지만 백화점이나 대형 쇼핑몰에 들어가면 이런 요소들이 사라지면서 시간 감각이 흐려집니다. 다시 말하자면 일상에서 우리는 창밖의 변화, 자연광, 그리고 주변 소음 등을 통해 시간의 흐름을 무의식적으로 감지합니다. 그러나 백화점이나 대형 쇼핑몰에 들어가면 이러한 요소들이 사라집니다.. 2025. 3. 11.